공지사항 

AI혁신연구원 연구지원사업 설명회 질의응답

  • 2025-09-17
  • 조회수 499
AI혁신연구원 연구지원사업 설명회 질의응답
 
 
Q1. 단독연구와 공동연구 간 심사 기준에 차이가 있나요?
A1. 차등은 없으며, 연구 주제의 적절성과 중요성이 고려됩니다.
 
Q2. 연구결과물로 제출하는 논문은 국제학술지 게재 여부 등 구체적인 기준이 있나요?
A2. 국내 학술지와 국제 학술지 논문 모두 인정되지만, 향후 지원 시 국제 학술지에서 우수한 성과를 낸 경우 심사 과정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Q3. 심사 과정에서 연구비 조정 요청이 있을 경우, 보완할 수 있나요?
A3. 가능합니다. 연구비를 보완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됩니다.
 
Q4. 연구책임자가 내부 교원인 경우, 공동연구자로 외부 기업 관계자 등 외부인이 참여할 수 있나요?
A4. 가능합니다. 별도의 제한은 없습니다.
 
Q5. 책임자가 교수일 경우, 공동연구원으로 석·박사 과정 연구자가 참여할 수 있나요?
A5. 가능합니다. , 박사학위 소지자는 공동연구원이 될 수 있지만 석박사과정 학생은 연구보조원이 되어야 합니다.
 
Q6. 연구과제 설정은 주제를 중심으로 결정되나요?
A6. 주제도 중요하지만, 주제 자체보다는 연구의 우수성이 중점적으로 고려됩니다.
 
Q7. 연구진 구성 시 다양한 전공이 우대되나요?
A7. 융합 연구라면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가 공동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구별로 다양한 구성원이 필요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구성이 다양하다는 이유만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지는 않을 것입니다.
 
Q8. 연구과제로 선정되지 않아도 서버를 사용할 수 있나요?
A8. 교내 구성원 다수가 활용할 수 있도록 도입된 것이므로 기본적으로는 교내 모든 분들에게 공개되지만 신청을 받아서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분들에게 사용권을 드릴 예정입니다. 연구지원 사업에 선정되신 분들에게 우선 사용권을 드릴 예정입니다.
 
Q9. AI를 직접 개발하지 못하는 경우, 예산안에 AI 개발까지 포함해야 하나요?
A9. 센터별로 기술적 지원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연구 주제 및 필요한 기술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Q10. CNN과 관련한 주제도 진행할 수 있나요?
A10. 가능합니다. 연구적 의미만 있다면 제한은 없습니다.
 
Q11. 선정 결과는 어떤 방식으로 언제 발표되나요?
A11. 개별 이메일로 통보되며, 10월 말에서 11월 초 발표될 예정입니다. (1024일 개원식 일정 때문에 정확한 날짜는 확정하기 어렵습니다.)